본문 바로가기

미국 증여세 면제한도 2025년 기준 총정리, 글로벌 자산이동 전 꼭 확인하세요

mcbrfgsze 발행일 : 2025-06-28

 

 

미국 증여세 면제한도,

“사랑은 국경을 넘지만, 세금은 그렇지 않습니다.”

해외로 자산을 이전하거나,
미국 시민권자·영주권자 자녀에게 증여를 고려하는 부모님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세금이 있습니다.
바로 **미국 증여세(Gift Tax)**입니다.

많은 분들이 **“얼마까지 주면 세금이 안 붙나요?”**라고 묻지만,
미국의 증여세는 단순히 금액만이 아니라 연도, 관계, 거주지, 국적까지 고려해야 하는 복합적인 세금 시스템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5년 기준 미국 증여세 면제한도,
연간 한도와 평생 한도 차이,
국내와 다른 점,
그리고 실전 절세 전략까지
한눈에 알기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 미국 증여세(Gift Tax)란?

미국 증여세는 한 개인이 다른 개인에게 무상으로 재산을 이전할 때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이 때의 ‘재산’은 단순한 현금뿐 아니라,
주식, 부동산, 자동차, 보석, 심지어 미술품까지 포함됩니다.

미국 국세청(IRS)은 “받은 쪽이 아닌, 준 쪽(Giver)이 납세 의무를 갖는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 2025년 미국 증여세 면제한도 정리

미국의 증여세 면제한도는 ‘연간 한도’와 ‘평생 한도’로 이원화되어 있습니다.

✅ 1. 연간 증여세 면제한도 (Annual Gift Tax Exclusion)

항목 2025년 기준
1인당 면제 한도 $18,000
부부 공동 증여 시 $36,000 (부부 합산 기준)
수증인 수 제한 없음 (받는 사람 수 무제한)

💬 예시

  • 부모가 자녀 1명에게 $18,000 증여 → 비과세
  • 부모가 자녀 2명에게 각각 $18,000 증여 → 총 $36,000까지 면세 가능
  • 부부가 자녀 1명에게 각각 $18,000 → 총 $36,000 면세 가능

🎁 이 연간 면제한도는 사용해도 신고 의무 없음
단, 초과 시에는 IRS에 증여세 신고(Form 709)를 해야 합니다.

 

 

 

 

 

 


✅ 2. 평생 면제한도 (Lifetime Gift and Estate Tax Exemption)

항목 2025년 기준
개인 기준 $13,610,000
부부 기준 $27,220,000

이 금액은 증여세 + 상속세 통합 면제 한도로,
한 평생 동안 이 금액을 초과하지 않으면 증여세·상속세 모두 면세됩니다.

단, 연간 면제한도를 넘는 증여를 한 경우에는 이 평생 한도에서 차감되는 방식입니다.

📌 주의: 이 면제한도는 2026년부터 대폭 축소될 예정
→ 현재는 2017년 세법개정으로 한시적 인상 중
→ 2026년 이후에는 약 $6~7M 수준으로 줄어들 수 있음


🇺🇸 미국 시민권자 vs 비시민권자(한국인) 차이

항목 미국 시민권자 / 영주권자 외국인(한국 거주자)
증여세 납세 의무 글로벌 증여세 적용 미국 내 자산에만 적용
연간 면제한도 $18,000 (2025년) 동일 적용
납세 대상 자산 전 세계 자산 미국 소재 자산만
수증자가 미국인일 경우 IRS 신고 의무 발생 가능 있음

💡 한국 부모가 미국 자녀에게 증여할 경우,
자녀가 신고해야 할 가능성도 존재 (특히 $100,000 이상 시 Form 3520 제출 의무)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18,000까지는 정말 아무 신고도 필요 없나요?

A1. 네. 연간 증여금액이 $18,000 이하라면 Form 709 제출 의무 없음. 초과 시만 신고 필요.

Q2. 자녀가 미국 시민권자인데, 한국에서 돈을 보낼 경우에도 미국 증여세가 적용되나요?

A2. 증여자는 한국인이지만, 수증자가 미국 시민권자일 경우 $100,000 초과 시 신고(Form 3520) 의무가 있습니다. 세금은 부과되지 않더라도 보고 누락 시 벌금 가능.

Q3. 미국 거주 손자에게 주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나요?

A3. 네. 손자든 자녀든 관계없이 개인당 $18,000까지 면제, 초과 시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Q4. 주식이나 부동산도 포함되나요?

A4. 포함됩니다. 단, 미국 외 자산을 외국인이 증여한 경우에는 미국 증여세 적용 대상은 아닙니다.


💸 실전 절세 전략 팁

  1. 연간 한도 내에서 분산 증여하라!
    → 자녀뿐 아니라 며느리·손자·손녀 등에게 분산 증여하면 총 금액은 더 크면서 면세 가능
  2. 부부 공동 증여 활용하라
    → 부부가 각각 증여하면 연간 $36,000까지 가능
  3. 미국 자녀가 있는 경우 보고 의무 숙지
    → 한국에서 돈 보낼 때 $100,000 넘으면 반드시 Form 3520 제출
  4. 2026년 면제한도 축소 전 사전 증여 고려
    → 현재 $13.61M → 향후 절반 수준 축소 전망
    고액 자산가라면 지금이 절세 기회

 

 

 

 

 


✍️ 마무리 | 세금은 정보를 아는 자의 편이다

“모르면 내 돈, 알면 내 자산.”
국제 증여의 세계는 복잡하고 낯설 수 있지만,
기준과 규칙만 정확히 알면 수천만 원의 세금을 줄일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지금은 미국 증여세 한도 역사상 가장 높은 시기입니다.
그 기회는 2025년까지일 수 있습니다.
지금이 바로, 자산을 ‘지혜롭게 이동’시킬 골든타임입니다.

사랑은 금액이 아닌 방식에 담기는 것.
그리고 올바른 방식은 때로 수억 원을 아낍니다.